서울대공원은 2025년 푸른 뱀띠 해를 맞아 동양관에서 재미있는 <푸른 뱀 겨울 탐구생활>을 진행합니다.
서울대공원 푸른 뱀 겨울 탐구생활 행사 신청하기
십이지신 중 여섯 번째인 뱀은 예로부터 지혜롭고 신중한 동물로 여겨지는데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띠의 해입니다. 서울대공원 동물원은 동양관 내 다양한 종류의 뱀을 소개하며 시민들에게 생태환경 보전의 중요성과 전통문화 속, 옛날이야기 속 동물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관심을 가지게 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일정,대상
참여대상은 어린이와 함께 방문하는 가족과 청소년, 연인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2025년 1월 2일(목)부터 2월 1일(토) 기간 중 목,금, 토요일에 총 15일간 진행됩니다.
참가 신청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누리집에서 사전 예약 후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일 3회, 오전 10시 40분, 오후 1시 20분, 2시 20분에 각각 시작하고 교육시간은 40분에서 50분 정도 소요되며 기간 중 1회만 참여하면 됩니다.
이번 교육은 추운 겨울에도 따뜻한 실내관에서 뱀의 생태와 보전 이야기를 동물해설사의 해설로 들으며 뱀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과 생태계 보전에 대한 시민의 실천 의지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운영할 예정입니다.
모든 뱀이 독을 가지고 있을까? 뱀은 정말 차가운 동물일까? 어떻게 자기 얼굴보다 큰 먹이를 삼킬 수 있을까? 뱀의 척추는 몇 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을까? 등 신기하고 궁금한 뱀의 생태에 대해 동물해설사의 해설을 들으며 동양관 탐방을 진행합니다. 동물해설과 병행하여 평소 보기 어려운 뱀의 배설물과 성장을 위해 탈피로 생성된 허물 등을 볼 수 있는 시간도 가집니다. 이외에도 알면 알수록 신기한 뱀의 생태와 보호에 대해 배우는 보드게임, 새해 소원 메시지와 함께 환경보호 실천 다짐 소원 적기 코너에 참여하고, 예쁜 푸른 뱀 비누 만들기 재료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교육은 무료로 진행(동물원 입장료는 별도)되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울대공원 자연학습팀(02-500-7177)으로 문의하면 됩니다. 최홍연 서울대공원장은 “겨울방학 동안 진행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동물의 생태적 가치를 이해하고, 멸종위기종 보전의 필요성을 일깨우는 재미있는 체험기회가 될 것”이라며 “2025년 새해를 맞아 많은 시민들이 푸른 뱀과 함께 의미 있는 겨울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요약
2025 을사년(乙巳年) 푸른 뱀 겨울 탐구생활
기간 1. 2.(목)~2. 1.(토) / 목, 금, 토 대상 어린이 함께한 가족, 청소년, 성인 등 누구나 참여
장소 동양관 실내
시간 1차 10:40~11:20/ 2차 13:20~14:00/ 3차 14:20~15:00
신청 ’24.12.24.(화) 14시~선착순 마감
서울대공원 누리집,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
참가비 무료(동물원 입장료 별도)
교육내용
1. 동물해설사와 함께 재미있는 뱀 생태탐구, 보전학습
2. 게임, 알면 알수록 신기한 뱀
3. 열두 띠 동물과 전하는 동물보호 메시지, 소원 메시지
4. 예쁜 ‘푸른 뱀’ 비누 만들기 재료 제공
출처 서울시청 홈페이지
2025 신한생명 신한라이프 무료 운세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제가 평소에 자주 보는 2025 신한생명 무료 운세를 소개드립니다. 여기서 본지 거의 10년이 되어가네요. 무료라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2025 신한생명 신한라이프 무료 운세 바로가
bubblechamber.tistory.com
어디갔어 내 붕어빵 테스트 게임 링크
요즘 소소하게 이런 테스트 하는게 재밌더라고요. 버스 기다릴때나 지하철에서 하기 딱 좋아요. 겨울을 맞이해서 어디갔어 내 붕어빵 소개드립니다. 어디갔어 내 붕어빵 테스트 게임 링크
bubblechamber.tistory.com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덧붙임. 신년 해맞이에 관하여 누구나 새해라고 하면 일출을 생각한다. 몇년 전 12월 31일 오후 방구석에서 뒹굴고 있는데 인스타 스토리에 해넘이 간 일상이 올라와서 침대를 박차고 운전대를 잡았었다. p 90% 맞음... 마침 가고싶었던 특이한 대형카페도 길목에 있었고 해서 서해 해넘이를 갔었다. 아무런 축제도 행사도 뭣도 없었지만 꽤나 사람들이 있었다. 평소 노을에 환장하지만 이렇게 대놓고 해가 넘어가는 걸 몇시간 동안 본 적은 머리털 나고 처음이었다. 일출에 비하면 뭔가 감성적이고 잔잔한 느낌이고 사람들도 다들 조용히 먹먹한 마음이었던 것 같아서 더 그 시간을 즐길 수 있었다. 뭐 이마저도 몇 년 전 얘기고 지금은 그냥 그저 똑같은 하루라고 생각을 한다. 삶이 예전처럼 좀 신나지게 되면 일출과 일몰이 애틋해지겠지...
'정보 > 이제는 웃는 거야 Smile ag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설날 전통시장 할인 이벤트 행사 (참여시장 목록) (0) | 2025.01.14 |
---|---|
2025년 3월 4월 5월 전국 벚꽃축제 매화 유채꽃 장미 축제 총정리 (0) | 2025.01.02 |
2024 서울콘 프로그램 일정 사전등록 인플루언서 라인업 안내 (0) | 2024.12.23 |
서울어린이대공원 겨울축제 윈터랜드 썰매 류엘의 마술쇼 버스킹 (0) | 2024.12.21 |
2025 서천 마량진항 해맞이 축제 (0) | 2024.12.17 |